전체메뉴
로그인
회원가입
메뉴닫기
마음을 비추는 질문
전문가 콘텐츠
고민 TALK
이벤트/행사
프로그램
전문가
전문가 등록
오디세우스의 항해일지
마음고백 소개
오디세우스의 항해일지
2025-09-24
타인에 대한 관심에서 벗어나 자신에 대해 관심을 두는것 '셀프 디깅(self-digging)'. 자신의 가치관, 성격, 외모, 취향을 중요시하며 스스로를 탐색하고 분석하는 태도다.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려면 자신과 떨어져 있어야 한다. 거울을 보면 또 다른 '나' 있다.
가치관
자산
나
0
댓글수
0
조회수
0
2025-09-22
책 <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을 보면, 세상이 전혀 다른 모습이 된다. 세계 82억 인구의 지구를 100명이 사는 마을로 축소해 보면 놀라움을 경험한다. 평범한 우리의 모습이 얼마나 대단한지, 얼마나 수준 높은 삶인지 새삼 알게 된다.
인구
마을
삶
수준
0
댓글수
0
조회수
2
2025-09-19
조직운영기법에 '레드팀'과 '블루팀' 개념 이 있다. 적군과 아군의 역할을 의미한다. '레드팀'을 운영하는 목적은 조직의 성과 향상이다. 오해와 불편을 뛰어 넘으려면 존중과 신뢰가 전제 되어야 한다. 쓴소리 할 수 있는 '레드팀'은 조직 신뢰의 척도다.
조직
역할
오해
불편
0
댓글수
0
조회수
3
2025-09-17
매력은 한두번의 짧은 느낌보다는 지속 적으로 쌓여가는 긍정적 감정의 합이다. 가까운 사람이 예전과는 다르게 당신을 대한다면 본인의 매력을 재점검 해보라. 오랜 기간 알고 지내오는 사람의 지금의 태도가 당신 매력의 현주소를 말해준다.
매력
긍정
감정
태도
0
댓글수
0
조회수
5
2025-09-15
80년간 의료인으로 활동한 103세 어른의 건강 팁 한마디. "가슴 뛰는 일을 찾아라!" 새로운 것을 배우기에 늦은 나이는 없으며 건강은 끝없이 움직여야 가능하다 말한다. 가슴 뛰는 일을 찾는 그 자체가 건강한 것. 가슴 뛰는 일을 생각하는 순간, 가슴 뛴다.
일
가슴
움직임
건강
0
댓글수
0
조회수
3
2025-09-12
절벽으로 떠밀리는 것은 죽음처럼 두렵다. 떠미는 사람과 떠밀리는 상황을 원망한다. 절벽으로 떠밀리는 건 절망이지만, 희망을 발견하기도 한다. 파산, 실직, 퇴직, 은퇴가 사람을 절벽으로 밀지만 그 덕분에 비로소 자신에게 날개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절벽
죽음
절망
희망
0
댓글수
0
조회수
1
2025-09-10
저서 <보물 지도>, <시간 지도>의 저자가 지도라는 개념을 통해 강조한 것은 '목표'. 결과 얻기 위한 첫걸음이 목표설정이라면 목표를 설정하게 하는 원동력은 목적이다. 목적이 분명하지 않으면 목표가 흔들린다. 목적을 명확하게 하는 힘. "왜(Why?)"다.
목표
원동력
목적
왜
0
댓글수
0
조회수
1
2025-09-08
변호사의 명칭은 형사사건에서는 변호인, 민사사건에서는 소송대리인 이라고 한다. 일상의 모든 행위와 연계된 법. 법을 몰랐다고 말할 수 있어도 이유가 될 순 없다. 법을 제대로 알고 지키고자 노력해야 한다. 법은, 말 없지만 가장 크게 말하는 존재다.
변호사
행위
법
존재
0
댓글수
0
조회수
1
2025-09-05
다이소 판매용품 일부 포장이 삐뚤빼뚤한 이유가 장애인 근로자들이 파르르 떨리는 손으로 힘겹게 포장했기 때문이라는 소식. 하나 하나 정성스럽게 포장하는 땀방울이 제품에 담겨있다. 1,000원 짜리 제품에서 1,000원 이상의 가치와 의미가 느껴진다.
장애인
포장
정성
제품
0
댓글수
0
조회수
2
2025-09-03
방탄소년단(BTS) 멤버 슈가. 청소년 정신 건강 치료를 위한 센터 건립에 50억 기부. 수십 ~ 수백억대 부동산 매입을 자랑하는 자산가들과 연예인들의 뉴스에 지쳐 있는 국민들에게 감동을 주는 소식이다. 세상을 따뜻하게 만드는 건 사람을 향한 마음이다
기부
자산
감동
마음
0
댓글수
0
조회수
0
2025-09-01
조리 있게 말하고 논리적으로 글을 쓰려면 6하원칙(5W1H)에 따르는 게 효과적이다. 어떤 일을 할 때는 Why? How? What? 순서로 생각해보는 것이 좋다. 먼저 자기 스스로 "내가 이 일을 왜 하는가(Why?)" 물어보라. 그리고 그 질문에 대답해보라.
글
순서
원칙
질문
0
댓글수
0
조회수
2
2025-08-29
국내 유명 배우가 42세에 처음 소설을 쓴 후 58세에 황순원문학상 신진상을 수상했다. 그는 "우리 인생은 장편소설 같다"고 했다. 결말을 미리 알 수 없기에 흥미진진한 장편 소설. 우리는 모두가 장편소설의 등장인물 이며, 자신의 삶을 만들어 가는 주인공이다.
0
댓글수
0
조회수
2
2025-08-27
1993년 처음 개봉한 영화 '쥬라기공원'이 '쥬라기월드'로 돌아왔다. Park(공원)에서 World (월드)로 된 것. 현실세계도 그렇다. 약육강식의 시대. 국가, 기업, 개인 모두다 "생존"이 중요하다. 아무도 그냥 도와주지 않는다. 홀로 서야 한다. 홀로 설 수 있는가?
생존
개인
0
댓글수
0
조회수
0
2025-08-25
케데헌(K팝 데몬헌터스) 주제곡 '골든'이 빌보드 핫100 차트 2위에 올랐다는 소식. '골든'을 작곡하고 부른 주인공은 아이돌 연습생 출신. 세상 모든 일에는 그럴만한 이유 있다고 받아들이며 한계를 극복했다. 자신을 믿는 힘이 있어야 자신을 지킨다.
한류
K-팝
자신
0
댓글수
0
조회수
2
2025-08-22
202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개최지로 대한민국이 선정되었다. "인류의 보물" 세계유산 등재 보존을 다룰 유네스코위원회. 17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한 대한민국의 문화 역량을 전 세계에 보여 줄 기회. 'K-컬쳐'는 우연히 생긴 게 아니다.
문화유산
유네스코
0
댓글수
0
조회수
1
2025-08-20
클래식 공연장에서 연주 끝난 후 박수를 쳐야 할 때와 침묵해야 할 때를 잘 구분해야 한다. 웅장한 교향곡에는 박수가 활력 불어넣지만, 조용한 곡에는 여운을 위해 잠시 침묵을 유지하는 게 좋다. 박수와 침묵의 균형. 대중 속에 있을 때 꼭 지켜야 할 에티켓이다.
시기
박수
침묵
균형
0
댓글수
0
조회수
1
2025-08-18
혼자 운동하기보다는 함께 하면 지속하는 효과가 크다. '운동 메이트'가 중요한 이유. 임계점을 넘으면 "티핑 포인트" 가 되듯이 5명 이상 모이면 커뮤니티가 살아 숨쉰다. 크루(crew)들이 모이면 함께하는 에너지 커지고 5명 이상 모이면 아웃풋이 나온다.
임계점
운동
커뮤니티
0
댓글수
0
조회수
1
2025-07-30
자신감과 자존감이 중요함을 잘 알지만 본인 스스로를 믿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내적 자존감 약한 사람에게 응원해주는 말 한마디. "You matter! (넌 중요해!)" 누구나 자기 삶의 주인공이자 운전자다. 자신의 운전대를 남에게 맡기면 안된다.
자신감
자존감
응원
0
댓글수
0
조회수
9
2025-07-28
주변 사람들이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인다면 '히든 피드백(Hidden feedback)'이다. 어느 순간 어색하고 낯선 분위기가 읽혀지면, 본인에게 오는 '히든 피드백'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마음은 불편하지만 피해서는 안 될 자극. 타인들이 주는 시그널을 읽어야 한다.
시그널
자극
피드백
0
댓글수
0
조회수
1
2025-07-25
오랜 시간 대화한다고 해서 좋은 게 아니고 짧은 시간 대화한다고 해서 나쁜 게 아니다. 대화의 길이보다는 농도가 더욱 중요하다. 본인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할 가치가 있는 대화인지 판단하려면, 자신에게 물어보라. "나는 상대에게 집중할 준비 되어 있는가?"
대화
가치
집중
0
댓글수
0
조회수
2
MORE
이전으로
검색
홈
마음질문
스크랩
마이페이지
확인
저장
취소